Discover[페미니즘 독서모임]투쟁하는 암탉
[페미니즘 독서모임]투쟁하는 암탉
Claim Ownership

[페미니즘 독서모임]투쟁하는 암탉

Author: Unknown

Subscribed: 24Played: 364
Share

Description

'여성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에 대해 여성의 목소리를 나누다.' 페미니즘 독서 모임 '투쟁하는 암탉'의 울음을 남기는 공간입니다.
28 Episodes
Reverse
좋은 엄마는 어떤 엄마일까요? 녹록치 않은 현실 속에서 불가능해보이기만 하는 목표, “좋은 엄마”를 양성해내는 학교가 있다면? 이번 화에서는 버락 오바마도 추천한 도서 재스민 챈의 <좋은 엄마 학교>를 읽었습니다.
[제60화]공룡의 이동 경로 "공룡을 상상하는 일보다 친구를 상상하는 일이 어렵습니다." 서로 다른 네 명의 등장인물을 통해 독자에게 각기 다른 공감을 일으키는 소설, 공룡의 이동 경로를 읽어보았습니다. 한 문장 한 문장, 사진 찍어 곱씹어 보고 싶은 글이었어요. 우리 투암멤버들은 이 소설을 읽으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
[제59화] 나의 아름다운 정원 20년 전에 출간된, 그리고 약 40년 전의 어느 날을 선명하게 쓴 <나의 아름다운 정원>을 함께 읽었습니다. 아름다운 성장보다 낡지 않는 고통과 슬픔에 대해 더 이야기했습니다. 여러 층위로 감각한 이번 팟캐스트, 한 번 들어보시길 추천합니다!
[제58화] 이중 작가 초롱 매해 초 문학계에 화제를 일으키는 '젊은작가상'. 올해는 특히 수상작가 모두가 여성이어서 더욱 눈길을 끌었는데요. 이번 화에서는 2023년 젊은작가상 대상을 수상한 이미상 작가의 <이중 작가 초롱>을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눴습니다. 모처럼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리는 책이었는데요. 어떤 이에겐 통쾌함을 주고 어떤 이에겐 불쾌감을 준다는 점에서, '정화'와 '배설'을 동시에 뜻하는 그리스어 '카타르시스'가 잘 어울리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읽으셨나요? 함께 이야기 나눠요!
[제57화] 새의 선물

[제57화] 새의 선물

2023-11-0401:11:57

[제57화] 새의 선물 Back to the Classic! 어쩌다 보니 투암은 그동안 주로 최신작들을 다뤄 왔는데요. 이번에는 1995년 발간된 은희경 작가의 첫 장편소설 <새의 선물>을 읽어 봤습니다. 소설 자체도 출간된 지 30년 가까이 흘렀지만 소설 속 배경은 1960년대로 더욱 시차가 큰데요. 60여 년의 세월이 무색할 정도로 현 시점에서도 충분히 매력적이고 입체적인 여성 주인공들, 그리고 그들에게 더욱 생명력을 불어넣는 작가의 유려한 글솜씨가 돋보이는 소설이었습니다. 투암 멤버들이 입모아 호평한, 매우 보기 드문(!!) 책이니 기대하셔도 좋겠습니다. *투쟁하는 암탉 멤버들의 한줄평* 쪼리 시니컬한 시선에서 느껴지는 묘한 따뜻함 나무 1960년대로 타임 워프해 다녀온 느낌. 여러분도 고고! 래래 글을 써야만 했던 안간힘으로 우연의 삶을 찬란하게 살 수 있기를 디디 진희가 바라보는 나랑 보여지는 나 같은 거 의식하지 말고 조금 더 ‘나’를 찾았으면 좋겠다 지나 성장기의 진희를 통해 받는 거울 치료
[제 55화] 김현경의 '사람, 장소, 환대'를 읽었습니다. 작가가 정의하는 환대를 우리의 일상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다양한 삶의 논의와 그와 맞물려 이어지는 페미니즘의 영역에서 타자를 환대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았습니다.
[제54화]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룰루 밀러는 허무와 혼돈의 삶 한가운데서 답을 구하려 애씁니다. 인간은 어떻게 계속 살아가는 건지, 너무나 소중하고 너무나 정교한 뭔가를 쌓아올렸다가 그 모든 게 다 무너지는 걸 목격할 수밖에 없는 인간들은 어떻게 계속 나아갈 의지를 찾는 것인지에 대한 답을요. 룰루 밀러는 세상의 모든 물고기에 이름 붙이려 했던 데이비드 스타 조던을 발견해 그 답을 추적합니다. 소중한 우주 먼지의 마음으로 울고 웃으며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를 이야기했습니다.
[제53화] 파워

[제53화] 파워

2023-09-0901:02:50

[제 53화] 파워 여성이 힘의 우위를 차지한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요? 초능력을 통해 세상을 지배하게 된 여성들, 그 상상이 통쾌했다는 멤버도, 식상했다는 멤버도 있었던 이 날의 대화. 여러분은 만약 그런 세상이 온다면 어떨 것 같나요? 잠시라도 그런 세상을 함께 그려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제50화] 타인의 고통

[제50화] 타인의 고통

2023-08-1201:13:20

타인의 고통이 이미지로, 영상으로 쉽게 재현되어 난립하는 시대입니다. 공교롭게 이태원 참사와 같은 시기에 읽게 되어 비통한 마음으로 치열하게 이야기했습니다. 낡아도 선명한 수전 손택의 <타인의 고통>입니다.
오늘은 소영이 감옥으로부터 보낸 편지를 함께 읽어보았습니다. 소영이 살았을, 살고있는 감옥은 어떤 곳이었을까요? 시대와 함께 흘러가는 우리의 삶에 대해서도 들어보세요.
페미니스트 무당이 홍칼리씨가 쓴 '신령님이 보고계셔'를 읽었습니다. 무당에게, 그리고 쓰는 사람에게 권위란 무엇일까요? 책임감을 지키는 것과 새롭고 자유로워지는 것 사이에서 오랜만에 서로 다른 의견이 활발하게 오간 토론이었어요. 어떤 이야기가 오갔는지 궁금하다면 투암 44회를 들어보세요!
채혜원의 <혼자가 아니라는 감각 - 베를린 페미니즘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을 읽었습니다. 동시대에 다른 도시에서 여성운동가로 활동하는 작가의 이야기를 통해 한국 사회를 돌아보았습니다. 유례없는 백래쉬와 함께 살아가는 지금, 우리 사회는 어디까지 왔고 어디로 나아가야 할까요? 사회 안에 살아가는 우리는 어떻게 서로 연대할 수 있을까요? 노동, 주거, 난민, 젠더 이야기까지. 투쟁하는 암탉과 함께 이야기 나눠요!
함께 이야기하면서 정말 즐거웠던 문학 작품, '사라지는 건 여자들뿐이거든요'를 읽었습니다.
[제39화] 패싱

[제39화] 패싱

2022-02-2601:14:08

넬라 라슨의 패싱을 읽었습니다.
시~월은 어린이날♪ 은 아니지만 시월을 맞아 김소영 작가의 <어린이라는 세계>를 읽었습니다! 어린이들이 온전한 한 명으로 귀히 여겨지기를, 한 사람으로서 어린이들이 응당한 행복을 누리기를 바랍니다. 공감한다면 지금 당장 <어린이라는 세계>를 읽고 투쟁하는 암탉 <어린이라는 세계>편을 들어보면 어떨까요?
2기 모임으로 시작된 첫 번째 책은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입니다. 지난 젊은작가상 2020에 이어 김초엽 작가의 소설을 두번째로 만나보았는데요, SF 문학작품인만큼 소설 속 단편마다 감상이 다양했던 책이었습니다. MBTI가 F인지 T인지에 따라 다른 감상을 보였던 '감정의 물성'이나 각자 이입한 인물이 달랐던 '스펙트럼' 이야기가 특히 재밌었어요! 방송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
[제35화] 모순

[제35화] 모순

2021-09-1158:55

양귀자의 모순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멤버들과 요즘 유행하는 밸런스게임 한번 해봤는데, 은근히 재밌네요ㅋㅋ 투암은 35화를 마지막으로 1기 모임을 마치고, 2기 모임을 시작합니다! 앞으로도 오랜 시간 함께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페미니즘 독서모임 '투쟁하는 암탉'의 서른번째 기록. <아주 오래된 유죄>를 읽고 함께 이야기 나눠보았습니다.
페미니즘 독서모임 '투쟁하는 암탉'의 스물 여덟번째 기록. <이수정 이다혜의 범죄 영화 프로파일>을 읽고 함께 이야기 나눠보았습니다.
페미니즘 독서모임 '투쟁하는 암탉'의 스물 다섯번째 기록. <김지은입니다>를 읽고 함께 이야기를 나눠보았습니다.
loading
Comments (1)

ID16947113

재생이 안돼요...

Jan 5th
Reply